• Home
  • About Utmost
  • Portfolio
  • portraits.kr
  • SHOP
  • Home
  • About Utmost
  • Portfolio
  • portraits.kr
  • SHOP
1 2 3

BANDAZI

Click here to show project info

BANDAZI

1000(W) x 470(D) x 840(H)mm

 

Steel, Marble

 

반닫이 – 김현희 작가

 

서구화된 우리 사회에서 그 쓰임새와 필요성이 잊혀져가고 있는 우리의 옛 것들 가운데 김현희 작가는 규방 가구에 주목한다. 규방 가구 중에서도 빈부에 상관없이 애용되었던 대표적인 신혼가구이자 다양한 용도로 활용되었던 반닫이가 작가의 오브제이다. 반닫이를 콘솔 테이블 형태로 제작하여 오늘날에도 일상 어느 곳에서나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처럼 작가가 조선시대 규방 가구를 오브제로 삼은 데에는 특별한 이유가 있다.

 

 

규방(閨房)이란 조선시대 여성들의 생활공간이 되는 안채의 방으로, 안채에 거주하는 여성들은 실상 바깥세상의 정치나 사회생활과 격리되었다. 이에 규방은 여성들의 한이나 원망을 상징하기도 하였는데, 작가는 이러한 규방에 놓였던 가구들이 가지고 있는 내재적 의미와 관계에 주목한다. 시대적 아름다움을 보여주는 규방 가구를 재해석하여, 공간적 제약과 함께 삶 자체가 ‘안’으로 향하도록 규정되었던 조선시대 여성들의 삶, 미묘한 관계, 그 사이를 표현하고자 하는 것이 작가의 의도이다. 그 표현을 극대화하기 위한 작가의 접근 방식이 주목할 만한데, 가구의 틀을 허무는 대신 그 틀만을 남김으로써 안과 밖의 경계를 허문다. 이처럼 대립하는 면이 공존해야 보편적인 이념 대신 본질을 드러낼 수 있다는 것이 작가의 생각이다.

 

이렇게 제시된 규정의 경계 사이에서 관객은 ‘틀 속에 있는 물건이 갇혀 있는 것일까, 아니면 틀 밖에 있는 우리들이 갇혀 있는 것일까’하는 의문을 가지게 되고, 그 가운데 ‘안과 밖’에 대한 개념에 대해 스스로 재정의 할 수 있는 시간을 가지게 될 것이다.

 

Bandazi (small clothes chest) – Hyunhee Kim

 

With the westernization of the Korean society, many of the country’s old things were undervalued while furniture maker/designer Hyunhee Kim pays attention to Korea’s old furniture that was traditionally placed in gyubang, the Joseon version of gynaeceum. Particularly bandazi – a cedar chest for storing clothes which has half of one side hinged – which was typical furniture in a married woman’s room, is the object for Kim’s project. She has refashioned a traditional bandaji into a modern console table so that it can be generally used even today. Then why bandaji in particular?

 

Gyubang, which refers to women’s living quarters in a house in the Joseon Dynasty period, physically and effectively had women segregated from the outside world, that is, the political and social spheres monopolized by their male counterparts. In this connection, gyubang occasionally symbolizes an ingrain sense of resentment that women would have in those days, with which the project is concerned. With a new version of bandazi, which was typical of gyubang, it is the creator’s intention to represent a delicate position in which Joseon women were placed since their life was forced to be cloistered as much as their room. To show it more tellingly, Kim has removed all of a chest except its frame. It is her idea that the heart of the matter can be revealed all the better by highlighting a line between two sides.

 

On the borderline presented like this, viewers will likely have a chance to rethink the notions of ‘in’ and ‘out’: “Is a thing inside a frame confined or is it us outside the frame that is actually confined (to social convention)?”